알쓸농촌 Editer _(Editor) 2017.11.07 15:33
(알아두면 쓸모있는 농촌 정보)[질문] Q. 시골에서 아이들을 키우려니 역시 교육이 걱정되네요. 도시 아이들에 비해서 뒤쳐지는 건 아닐까요? [답변] A. 자녀교육은 가치관의 문제이기 때문에 선뜻 '이렇다'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지극히 주관적인 말씀을 드리자면, 소위 SKY(서울대 고려대 연세대)에 진학하는 비율은 4% 정도에 불과합니다. 우리나라 대개의 중고교생은 사교육의 중압감으로 피곤한 나날을 보..
알쓸농촌 Editer _(Editor) 2017.11.03 10:16
(알아두면 쓸모있는 농촌 정보)귀농귀촌을 준비하는 분들께 실질적으로 도움을 드릴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간 무료 Q&A(질의응답)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링크(https://goo.gl/rj6qWv)에 접속하셔서 귀농귀촌, 그외 시골생활과 관련해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어떤 내용이라도 좋으니, 자유롭게 질문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답변은 전문가의 조언과 분야별 정부·관련기관·지자체 담당..
알쓸농촌 Editer _(Editor) 2017.11.03 08:50
(알아두면 쓸모있는 농촌 정보)[질문] Q. 농지를 구매하려고 하는데 재산세가 많이 나오나요?[답변] A. 우리나라의 모든 재산세는 7월, 9월에 부과됩니다. 질문하신 농지는 9월 토지 재산세 내부일에 맞춰, 납부하시면 됩니다. 농지의 재산세는 공시지가의 0.07%입니다. 지방세법 제106조에 따라 전·답·과수원·목장용지·공장용지는 분리과세 대상에 해당합니다. 만약 보유하신 농지의 공시지가가 1,000만원..
알쓸농촌 Editer _(Editor) 2017.11.01 16:00
(알아두면 쓸모있는 농촌 정보)귀농귀촌을 준비 하려면 신경써야 할 일들이 많은데, 그 중 반드시 알아두면 좋은 귀농귀촌 관련 팁 7가지를 소개합니다. 1. 계획없는 귀농은 실패의 원인이다 막연하게 이상적인 생각만 갖고 농촌에 이주했다간 가혹한 현실을 맛볼 수 있습니다. 육하원칙에 의거해서 단계별 계획을 세워, 철저한 준비를 해야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는 확률이 높습니다.2. 부지 구입 전..
알쓸농촌 Editer _(Editor) 2017.10.31 13:20
(알아두면 쓸모있는 농촌 정보)[질문] Q. 귀촌을 준비하고 있는데 귀촌을 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이나,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답변] A. 가장 중요한 건, 귀촌을 하는 목적을 명확하게 하는 것입니다. 시골도 사람이 어울려 사는 곳 아니겠습니까. 만약 귀촌의 목적이 인간관계로부터 조금 더 자유로워지는 것이라면, 집의 위치를 최대한 마을과 떨어진 곳에 두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nb..
알쓸농촌 Editer _(Editor) 2017.10.18 11:19
(알아두면 쓸모있는 농촌 정보)*설문 결과는 여러분이 기입하신 이메일(개인정보동의)로 회신드리겠습니다.합계점수에 따른 자가 진단170점 이상 : 전원생활을 즐길 마음가짐이 되어 있습니다. 서두르지 마시고 마음에 드는 전원마을을 돌아보면서 준비하세요. 150점 이상 : 전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으시겠네요. 먼저 전원생활을 시작한 귀농귀촌 선배들의 조언을 받으며 계획을 세우십시오.130점 이상 : 전원생활에 대한 구..
알쓸농촌 Editer _(Editor) 2017.09.05 01:37
(알아두면 쓸모있는 농촌 정보)귀농의 종류도 여러 가지가 있다. 농사를 전문적으로 짓는 전업 귀농, 농사 이외에 다른 일을 겸하는 겸업 귀농, 귀농은 하지만 농사는 짓지 않고 연관된 업종에서 일을 하는 농업파생귀농이 있다. 귀촌은 농촌에서 농업에 종사하지 않거나 도시로 출퇴근하는 이들을 뜻한다. 또는 주말마다 농촌으로 내려와 텃밭을 가꾸거나 여유 있는 전원생활을 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귀촌의 경우 상황에 따라 상호 유기적으로 시와의 관계를 ..
알쓸농촌 Editer _(Editor) 2017.08.30 13:14
(알아두면 쓸모있는 농촌 정보)시골에도 '고수익' 일자리는 충분히 존재한다 우리가 지방에 대해서 오해하고 있는 것 중 하나는 '일자리가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일자리가 없다는 건 오해에 불과하다.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접속하면, 지금도 채용공고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다.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일자리를 찾는 건 그렇게 어렵지 않다. 고수익 일자리도 상당수 존재한다. 일례로 입업(벌목업 등..